💡 1. 지출의 '고정 루틴화'가 종잣돈을 만든다: 가계부 없이도 지키는 돈 관리 시스템
많은 사람들이 가계부 앱을 설치해도 오래가지 못하는 이유는 ‘기록이 귀찮기 때문’입니다.
그러나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선 지출을 ‘체크’하는 것보다, 애초에 ‘패턴화’해서 돈이 나갈 틀을 정해두는 게 훨씬 효과적입니다.
저는 월급이 200만 원일 때 다음과 같이 돈의 흐름을 루틴화했습니다:
항목 | 금액 | 비고 |
저축(선저축) | 50만 원 | CMA 통장 자동이체 |
월세+관리비 | 45만 원 | 고정비 |
식비 | 30만 원 | 주 7만 원까지만 사용 |
교통비 | 6만 원 | 충전카드 활용 |
통신비 | 3만 원 | 알뜰폰 요금제 사용 |
보험/비상금 | 6만 원 | 소액보장성 + 비상금 분할 저축 |
여유자금 | 10만 원 | 유흥·소비 제한 설정 |
남는 돈 | 50만 원 | 매달 자동저축 추가 or 투자 전환 |
핵심은 ‘계획된 금액 외에는 쓰지 않는다’는 규칙을 자동화하는 것입니다.
저는 자동이체를 통해 월급일+1일에 바로 저축통장으로 50만 원을 보내고,
생활비 계좌엔 딱 100만원만 남겨두었습니다.
그 후 3가지를 실천했어요:
1. 신용카드 X, 체크카드만 사용
→ 결제 즉시 잔고가 줄어들기 때문에 소비 억제가 됩니다.
2. 주간 지출 상한제 운영
→ 식비 7만 원, 여가비 2만 원처럼 주 단위로 예산을 쪼개 관리하면 충동지출이 줄어요.
3. CMA 통장 or 티클 앱으로 잔돈 자동 이체
→ 남는 돈은 앱을 통해 소액 투자로 연결, 소비되지 않고 축적됩니다.
‘관리하는 것’보다 중요한 건 ‘설계하는 것’입니다.
패턴을 정하고 자동화하면, 돈은 저절로 쌓이기 시작합니다.
💡 2. 작지만 강력한 소비 줄이기 전략: 고정비를 먼저 줄여라
월급이 200만 원이라면, 지출 중에서도 ‘건드릴 수 있는 영역’이 의외로 많습니다.
그중 핵심은 고정비입니다. 고정비는 한 번 구조를 바꾸면 매달 자동으로 절약이 되기 때문이죠.
✔️ 월세 줄이기
- 가능하다면 반지하·옥탑보다 방 2개짜리 쉐어하우스로 이동
- 혹은 직주근접 대신 ‘경로상 환승 없이 가는 거리’로
- 월세 10만 원만 줄여도 연 120만 원 절약!
✔️ 통신비 줄이기
- 알뜰폰 요금제로 바꾸면 6만 원 → 2.5만 원으로 절감
- 와이파이 + 3~5GB 요금제 조합이면 충분한 사람 많아요
- 📌 통신비는 ‘10분 비교’만 해도 매달 3만 원 절약 가능
✔️ 구독 서비스 정리
- 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멜론 등
→ “동시 1개만 유지, 나머지는 월 단위 순환제 운영” - 월 3~4만 원 절약 가능 + 콘텐츠 몰입도 증가
✔️ 교통비 최적화
- ‘대중교통 정액권’ 활용 or 자전거로 대체 가능 구간 설정
- 출근/등원 10분 걸음 늘리는 대신, 택시비 월 2~3회 줄이기
고정비 구조를 재정비하면 매달 15만~20만 원 수준의 절약이 가능하며,
이는 ‘고통스러운 절약’이 아니라 ‘구조 조정’에 가까운 선택입니다.
고정비는 한 번 조정하면 장기적으로 큰 차이를 만듭니다.
작은 전략이 ‘눈에 안 보이던 돈’을 만들기 시작합니다.
💡 3. 1천만 원 만들기의 핵심: 저축보다 중요한 ‘습관 자산’ 만들기
많은 사람들이 말합니다.
“목표는 1천만 원인데, 시작할 수가 없어요.”
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목표 금액이 아니라, 그것을 위한 ‘습관 루틴’입니다.
제가 1천만 원을 만들기까지의 핵심 습관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:
1️⃣ 돈 안 쓰는 주말 실험
- 주 1회, ‘돈 안 쓰는 주말’ 실천 (무료 산책, 독서, 홈카페 등)
- 평균 지출 4만 원 절약 → 연간 192만 원 절약 가능
- ✍️ 돈을 안 쓰는 대신 얻은 것: 시간, 정리, 여유
2️⃣ '지출 로그’ 보다 '감정 소비' 분석
- “왜 이걸 샀지?”를 일주일에 한 번 돌아보는 감정 소비 노트 작성
- ‘스트레스 소비’, ‘SNS 영향 소비’를 잡으면 소비 빈도 줄어듦
예: "카페를 갈 때마다 외로웠구나" → 홈카페 키트로 대체
3️⃣ 소액투자 병행
- 매달 저축 50만 원 + 티클(자동 저금) or 적립식 ETF 5만 원 투자
- 변동성은 크지 않지만, ‘투자 감각과 관심’을 익히기 위함
- 투자액보다 더 중요한 건 “내 돈이 일하고 있다”는 자존감 상승
✨ 마무리하며: 1천만 원은 ‘의지가 아니라 구조’로 만든다
월급 200만 원으로 종잣돈 1천만 원을 만든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 아닙니다.
핵심은 ‘절약’이 아닌 패턴화된 루틴 + 자동화된 시스템입니다.
💬 “돈을 지키는 건 의지가 아니라 시스템이다.”
💬 “생활비 10만 원 줄이기보다, 자동이체 한 번 설정이 더 강력하다.”
이글을 읽는 당신이 오늘부터 할 수 있는 건 많습니다.
- 고정비 점검하기
- 소비 없는 주말 실천해보기
- 월급날 자동 저축 만들기
이 글을 읽는 누구나, 자신의 수입 안에서 종잣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중요한 건 시작이고, 반복입니다.